본문 바로가기
UAE

아랍어 어학연수는 어디로 가는것이 좋을까?[어학연수 추천지역]

by Mr.Randy 2020. 2. 14.

아랍어(Arabic)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희귀한 언어중 하나입니다. 글자를 쓰는 방향도 다를뿐 아니라 문법 역시 굉장히 어려운편이라 쉽게 도전하기 어렵습니다. 저 역시 아랍어과를 졸업했지만 아랍어에 대해서 이렇게 해야한다 라는 명확한 조언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저는 아랍어 어학연수를 다녀온 경험이 있습니다. 대학교 재학시절 우연치않게 겨울방학기간동안 어학연수를 보내주는 장학제도가 있어 북아프리카의 튀니지라는 국가로 단기 어학연수를 다녀왔습니다.

어학연수를 가보니 전국의 아랍어과 학생들이 꽤 많았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조선대학교, 단국대학교 등에서 아랍어과 또는 아랍지역학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랍어 어학연수 추천지역을 공유드립니다.

 

1.튀니지 

튀니지는 북아프리카에 있는 국가로서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아 불어 및 아랍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 직항으로 가는 방법이 없어 파리나 독일, UAE를 경유해서 갑니다. 제 경우 파리를 경유했는데 파리까지의 장거리 비행 후 장시간 대기를 했기때문에 튀니지 수도 카르타고 공항까지 약 1.5일이 걸렸습니다. 

 

장점 : 튀니지는 저렴한 물가때문에 인기가 많은 지역입니다. 주거비를 공동으로 분담한다는 가정하에 한달 70만원 미만으로 숙식비와 교육비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럽과 가까운 거리덕분에 방학기간이면 가까운 유럽으로 여행을 떠나기 쉽습니다. 또한 불어 및 아랍어가 공용어임으로 2가지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튀니지 역시 암미야(지역방언)을 사용하기때문에 표준 아랍어(푸스하)를 아는 현지인이 적습니다. 데리자 라고 불리는 북아프리카 언어가 주요 언어임으로 아랍어와 불어, 데리자 모두 놓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2015년)에는 자살폭탄테러 및 총기테러가 많아 통금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저녁8시까지 들어와야했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정통아랍어를 배우기에는 적합한 지역이 아닙니다.

 

2. 요르단 

요르단은 걸프지역 옆에 있는 작은 국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생의 중고차 수출국으로 유명합니다. 요르단은 석유가 나지않습니다만 무역을 통해서 비교적 괜찮은 경제규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동의 유럽이라고 불릴만큼 많은 유럽식 건축양식과 문화가 있습니다.

 

장점: 걸프지역과 비교해 물가가 저렴하며 문화유적이 많습니다. 또한 이스라엘과 국경을 맞대고있어 이스라엘 방문에 용이합니다. 중동에서 유일하게 4계절을 가진 국가중 하나입니다. 눈이 오기도 하며 비교적 온화한 기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 역시 요르단 암미야를 사용하며 영어소통이 비교적 잘되는 편이라 영어만 늘어서 돌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프라 자체는 낙후된 지역들이 많습니다. 최근들어 인기를 얻고 있지만 북아프리카의 가격과 비교했을때 가격면에서 높고 정통아랍어를 사용하는 국가들과 비교해서 영어사용 비중이 높습니다.

 

3.이집트

이집트는 파라오 및 피라미드로 유명한 유서깊은 국가입니다. 저 역시 피라미드 및 홍해의 아름다움을 보기 위해 이집트를 방문했습니다. 이집트의 경우 이집트 방언이 매우 강합니다. 하지만 북아프리카에서 꽤나 경제적이면서도 세계적인 관광지이기때문에 인기있는 어학연수지역입니다.

 

장점: 저렴한 비용. 주거를 공동으로 부담한다는 가정하에 튀니지와 비슷한 물가 수준. 스핑크스,피라미드,고대 유적이 많으며 홍해바다에는 다합과 같은 유명한 해변이 있습니다. 

 

단점: 온갖 소음과 지저분한 거리, 낮은 시민의식으로 중간에 도망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 수 있음. 하지만 분명 많은 한국기업들이 진출해있는만큼 매력적인 국가.

 

4. 사우디아라비아 

사실 사우디아라비아는 쉽게 방문하기 어려운곳이지만 초청프로그램을 통해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거나 어학연수를 다녀온 후배들이 몇몇 있습니다. 제가 거주했던 UAE의 바로 옆 국가이자 중동의 주인이라고 불릴만큼 중동국가들의 대장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표준아랍어가 비교적 잘 통하며 정통아랍어를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지역입니다.

 

장점: 정통아랍어를 배울 수 있으며 경제적인 수준이 높습니다.

 

단점: 이슬람주의가 강해 여성들의 경우 외출 및 복장에 있어서 제한을 받습니다. 다른국가들에 비해 물가가 높은편이라 어학연수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자 오늘은 이렇게 아랍어 어학연수지역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국가에서 아랍어를 배우고 싶으신지 댓글을 통해서 말씀해주세요.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중동 관련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