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지역에 취업해서 2년간의 시간을 보낸 뒤 한국에서 중동 특히 UAE관련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많은분들이 관심있는 중동지역으로 이민을 갈 수 있을까 또한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현재 UAE에는 약 1만5천명의 한국인이 살고 있습니다. 2016년 기준 주UAE한국대사관에서는 1만3천명의 한국인이 있다고 발표했지만 이는 해외주재근무를 위해 온 한국전력 주재원들 및 각종 대기업의 직원 및 가족들에 대한 통계에 가까우며 실제로는 등록되지 않은 인원들이 다양한 곳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중동지역에 오는 첫번째 이유는 한국보다 높은 임금과 기회의 땅이라는 인식때문입니다. 지금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중에서도 중동지역 취업을 희망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 먼저 제가 작성한 중동지역에서 일할때 받아야하는 최저임금 기준을 보시면 큰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3년~5년의 파견기간이 지나면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갑니다. (한국전력 기준 최대 파견기간 5년) 그러나 일부 인원들은 아이들의 학업문제(현지 주재 명문 중,고등학교 재학) 및 외국기업으로 이직하기때문에 계속해서 UAE에서의 삶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UAE가 중동지역 중 가장 개방적이면서도 산업화가 잘 되어있는 곳이기때문에 청년취업률또한 높습니다. 일례로 제 전공인 아랍어과의 경우 10명중 3명이 중동지역에 취업할 정도로 한국인들이 일할 수 있는 기회 역시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UAE, 중동지역에서 계속 일하고 산다면 시민권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NO(불가능)입니다. UAE의 경우 1천만명도 되지않는 자국민 즉 에마라티라고 불리는 현지인들이 있으며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외국인입니다. 특히 인도나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UAE로 이민을 와서 터전을 잡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민권제도가 생기게 되면 적은 인구의 UAE사람들보다 노동자들이 더 많은 인구비중을 차지하기때문에 UAE정부는 원천적으로 시민권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로 UAE정부에서는 억대의 출산축하금, 대학등록금면제 및 에마라티(UAE현지인)의무고용 과 같은 강력한 자국민 보호정책에 힘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타깝게도 UAE에서 30년을 살더라도 시민권이 아닌 '외국인'신분임을 다시한번 알려드립니다.
(UAE한인회장 및 한인회간부들의 경우 20년이상 UAE에 거주하고 있지만 여전히 외국인 신분입니다.)
그런 UAE가 최근 경제악화에 따른 영주권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는 투자이민에 해당합니다. UAE에서는 직업이 없는 노년층에 한해 3억원 이상의 부동산이나 은행예치를 통해서 장기거주비자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가 UAE에서 외국인 신분으로서 거주할 수 있는 최고의 조건이기때문에 UAE는 미국이나 유럽처럼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는 국가임을 알려드립니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중동국가에서는 시민권제도보다는 투자이민만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UA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지역 비즈니스 시작은 이렇게 해보세요.(비즈니스 꿀팁) (0) | 2020.02.12 |
---|---|
중동에서는 슈퍼카 아니면 낡은중고차? [UAE 슈퍼카와 중고차] (0) | 2020.02.06 |
인천발 아부다비행 비행편은 오직 1개의 항공편밖에 없다? (0) | 2020.01.31 |
UAE거주자가 알려주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 중동여행 주의사항 (0) | 2020.01.29 |
UAE(두바이,아부다비) 성장의 비밀 (0) | 2020.01.20 |
댓글